경기도, 여성 10명 중 9명 다이어트 경험

그중 8명은 “부작용 경험”

경기도 홈런, 설문결과 여성 10명 중 9명 다이어트 경험 있어

선호하는 다이어트 운동은 헬스, 걷기, 요가, 달리기, 등산 순

가장 다이어트 하고 싶은 부위는뱃살

다이어트 경험자 중 81.5%는 부작용 경험

요요 51.2%, 빈혈 24.9% 그 외 피부탄력감소, 노안, 탈모 등

다이어트의 가장 큰 실패요인은 식욕조절 실패

여성 키 160~165cm에 가장 이상적인 몸무게는 50~52kg 응답

홈런,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을 위한 무료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경기도 여성 10명 중 9명은 다이어트 경험이 있으며 이 중 8명이 다이어트 부작용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무료 온라인교육사이트 홈런(www.homelearn.go.kr)’71일부터 15일까지 여성회원 1,600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90.4%(1,445) 다이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81.5%(1,177)으로, 부작용 종류로는 요요 51.2%(741), 빈혈 24.9%(360), 피부탄력감소 21.0%(304), 노안4.9%(71)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다이어트를 하고 싶은 신체 부위로는 뱃살이 53.0%(766)로 가장 많았으며 허벅지 29.1%(421), 팔뚝 6.6%(96), 종아리 4.6%(66) 순으로 응답했다.

 다이어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스스로의 자신감을 상승시키기 위해서70.7%(1021)’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이 걱정돼서 20.6%(297)’, ‘가족 등 주변 사람의 지적으로 다이어트를 한다는 의견도 6.0%(87)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시 가장 선호하는 운동으로는 헬스 28.0%(405), 걷기(빨리걷기) 18.1%(261), 요가 12.3%(178), 달리기 10.0%(144), 등산 7.2%(104) 순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시 선호하는 식이요법으로는 평소와 똑같이 먹되 소식’ 45.7%(611) ‘야채, 과일 위주의 채식 중심 식단’ 20.6%(298), ‘고단백 저칼로리(닭가슴살, 두부 등) 식단’ 14.0%(202), ‘11’ 6.2%(90)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이어트를 할 때마다 거의 실패했다고 응답한 481명은 다이어트의 주된 실패요인을 식욕조절 실패’ 57.4%(276), ‘동기부여 부족’ 17.0%(82), ‘운동을 하지 않아서’ 12.5%(60)라고 응답했으며 잘못된 다이어트 상식이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한 것이 실패요인이라고 응답했다.

 여성의 키를 160~165cm로 가정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몸무게를 묻는 질문에는 50~52kg53.2%(855), 53~55kg40.6%(599)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도 e-배움터 홈런(www.homelearn.go.kr)은 경기도민의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을 위해 권도예와 함께하는 하우 투 여성헬스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비법 등의 생활체육 및 건강분야 온라인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본 과정은 누구나 수강신청만 하면 무료로 배울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도 학습이 가능하다.

경기도 홈런(www.homelearn.go.kr)은 경기도가 운영하는 무료 온라인교육사이트로 외국어, 자격증, 정보화, 생활취미, 경영, 가족친화, 다문화 등 무려 800여 종의 다양한 콘텐츠를 36524시간 무료로 제공하는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공e러닝 학습사이트이다.

 홈런 온라인교육에 대한 자세한 이용방법은 전화(1600-0999)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