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과기원, 고대안산병원과 난청질환 치료제 공동 개발키로

천연물 자원을 이용한 난청질환 개선 및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 진행

도출된 연구 성과, 경기도 내 바이오 기업에 기술이전 추진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바이오센터가 국내 28만 명에 달하는 난청질환 환자들을 위해 도내 대학병원과 손잡고 치료제 개발에 앞장선다.

 경기과기원(원장 곽재원)과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원장 차상훈)24일 오후 2시 경기바이오센터 이노카페회의실에서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R&D)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대안산병원은 의과학연구소, 통합임상시험센터, 첨단임상의료장비와 실험동물시설 등 임상관련 연구 기반과 시스템을 갖춘 연구 혁신 대학병원이다.

 이번 협약은 바이오센터에 구축된 천연물 자원의 활성성분 규명, 초고속 약효검색 및 구조예측 시스템과 고대 안산병원이 보유한 임상중개연구 시스템 등을 이용해 난청질환 개선 및 치료제 개발 연구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 치료제 공동연구를 위해 추진됐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천연물 기반 질환별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 과학기술 및 보건의료 분야 국가사업 공동발굴 및 유치 연구장비, 연구시설, 연구공간 공동 활용 등 기초연구에서부터 임상시험 및 신약개발 연구까지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상호 협력하게 된다. 또한, 도출된 성과는 경기도 내 바이오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여 도내 바이오제약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곽재원 경기과기원장은 이번 협약으로 기초 및 응용연구가 의료현장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공동연구가 이뤄질 것.”이라며, “양 기관이 활발한 공동연구와 학술교류를 통해 경기도는 물론 나아가 국가 보건의료기술 분야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난청은 과도한 소음과 노화로 인해 청력이 감소되는 질환으로 이명, 메니에르 등과 같이 난치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