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맨 창조 오디션 참가자 모집. 유망 스타트업 발굴한다

신청서 접수기간 : 2015. 7 .30 ~ 2015. 8. 21.

아이디어/사업화 2부문의 우수 아이디어/기술과제 모집

1020일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상설오디션장에서 결선

입상팀에게는 상금 및 슈퍼맨 펀드 투자기회, 각종 인센티브 제공

 경기도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오는 821일까지 슈퍼맨 창조오디션에 참가할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30일 밝혔다.

 슈퍼맨 창조 오디션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와 사업화가 가능한 우수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육성하고자 경기도가 도입한 프로그램이다. 오디션은 예비창업가(개인)가 참가하는 아이디어 부문과 창업초기기업이 참가하는 사업화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참가자격은 아이디어 부문의 경우, 공고일인 730일 기준 도내 거주중인 개인 또는 3인 이하로 구성된 단체이며, 사업화 부문은 공고일 기준 최근 3년 이내 창업한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이다.

 단, 공고일 이전 국가 및 지자체·민간에서 시행한 공모전 등 각종 오디션에서 5천만 원을 초과하는 시상금이나 부상을 획득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참가가 제한된다.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3조 및 시행령 제4조에 의거 창업의 적용범위에서 제외되는 업종이나 게임 창조오디션을 별도 개최하는 게임 업종 역시 참가가 제한된다.

 참가 방법은 참가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등 필수서류를 구비한 후 이지비즈시스템 홈페이지(http://www.ezbiz.or.kr) 접속해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아이디어 부문의 경우 신분증 사본이, 사업화 부문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사본과 국세/지방세 납세증명서가 각각 1부씩 필요하다.

 참가자 모집이 완료되면 1·2차 예선과 본선을 걸쳐 오는 1020일 판교 창조경제혁신센터 에서 열리는 최종 결선까지 본격적인 오디션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결선전은 국내 굴지기업의 슈퍼CEO를 심사위원으로 초청해 진행되는 만큼 사업성과 성공가능성에 있어서 신뢰성 높은 검증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오디션에서는 대상 1팀을 비롯해 금상 2, 은상 2, 동상 2팀 등 총 7팀을 입상자로 선발할 예정이며, 대상에게는 5천만 원, 금상에게는 3천만 원, 은상에게는 2천만 원, 동상에게는 1천만 원의 상금이 지급된다. 아울러, 결선 입상 7개 팀은 12월 중 개최 예정인 데모데이 참가를 통해 슈퍼맨펀드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으며, 창업보육센터 및 벤처센터 우선 입주, 도내 각종 중소기업 지원 사업 우선 연계 지원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된다.

 손수익 경기도 기업지원과장은 슈퍼맨 창조오디션은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5% 이상의 의무투자를 기반으로 하는 슈퍼맨펀드를 근간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라면서,“이를 통해 도내 청년 창업붐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29DSC인베스트먼트,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함께 200억 규모의 슈퍼맨펀드 1호 결성 업무 협약을 맺고 우수한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도내 유망 기업 투자에 협력하기로 합의한바 있다.

 자세한 문의사항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성장지원팀(031-259-6072)으로 하면 된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