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9월부터 광교신청사 잔디 공사 시작

주민과 소통하며 차질 없이 신청사 공사 진행 밝혀

 경기도가 오는 9월부터 광교신청사 공사를 추진한다. 박수영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수원 영통구 지회 주최로 13일 오후 2시 경기도중소기업지원센터 경기홀에서 열린 경기도 신청사 건립 관련 설명회에서 도지사가 다섯 번 바뀔 동안 신청사 문제가 해결이 안 됐다. 이번에는 확실하게 마무리 짓겠다.”면서 오는 9월 오픈스페이스가 들어설 공간에 잔디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주민과 소통하며 차질 없이 신청사 공사를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설명회는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수원 영통구 지회에서 경기도에 광교신청사 개발계획에 관한 강의를 부탁하면서 이뤄졌다. 이날 설명회는 이계삼 경기도건설본부장의 신청사 복합개발계획과 쟁점사항을 주제로 한 특강, 참석자들의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설명회에는 영통구 지회 회원 100여 명이 함께했다.

 먼저 갑작스런 신청사 복합개발이 도시를 망치는 계획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이 본부장은 경기도는 2005년 신청사 구상단계에서부터 복합개발을 지향했지만 제도상의 문제로 늦어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도청사가 중앙역에 입지한 이유도 복합개발을 전제로 한 것이라며 기존 정부제도가 복합개발을 금지해 좌절됐지만 2009년 이후 정부가 공공기관 청사의 복합개발을 권장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변경해 복합개발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원안대로 신청사만 건립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는 개발수익도 없고 지방채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업기간이 상당기한 지연될 것이라며, 신청사 건립사업 자체가 다시 표류하게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도청사 입지계획 때문에 비싼 주택가격을 지불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아파트 분양가격은 신도시 조성원가에 의존하게 되는데, 조성원가는 총사업비를 가처분면적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행정타운 부지의 용도와 아파트 분양가격과는 상관이 없다는 설명도 하였다이 본부장은 이어 초등학교 인근에 호텔을 유치한다며 반대하는 의견에 대해서는 복합개발 부지에 유치를 검토 중인 호텔은 특급호텔 유치라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일본 도쿄 미드타운의 경우에도 초··200미터 이내에 리츠칼튼호텔이 입지하고 있다.”수원시가 컨벤션 도시를 추진하고 있는데 호텔이 하나 더 들어서면 신규일자리 창출과 광교신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상복합으로 주거밀도가 과잉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광교의 현재 인구밀도는 69/ha, 서울시 인구밀도 165/ha, 영통 300/ha, 분당 200/ha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인구밀도가 너무 낮으면 상가가 쇠퇴해 도시 활력을 잃어버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설명회를 주최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수원 영통구 지회 박수경 총무는 광교에 살고 있지만 경기도의 신청사 건립계획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해 도에 자세한 설명을 부탁한 것이라고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박 총무는 오늘 설명을 들어보니 굉장히 희망적이다. 신청사가 들어서면 도시 전체가 역동적으로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빨리 진행이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