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과일은 ‘사과’

사과, 복숭아, 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구매액 많아

 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국산 과일은 사과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 소비자 1,000가구의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간 국산 생과용 신선과일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사과, 감귤, 포도, 복숭아, , 배 순으로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가구당 구매액은 사과 88,235, 감귤 68,589, 포도 61,094, 복숭아 37,280, 26,681원 순이었다.

 과일 구매와 소비는 가구의 연령층, 주부의 취업여부와 같은 가구 특성과 과일의 저장기간, 추석과 설과 같은 명절소비에 따라 과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는 연중 저장이 가능하여 연중 소비가 되는 품목이나 특히 추석이 낀 9월과 설이 있는 1월에 전체 구매액의 28.9%로 가장 많이 소비됐다. 또한 주부 연령이 높은 가구일수록 구입액이 증가하여 30대 이하의 젊은 주부가 연간 56,144원을 구입하는데 비해 60세 이상 주부가 있는 가구는 132,584원을 사과 구입에 사용했다.

 배도 명절소비가 가장 큰 과일이다. 배는 작년의 경우 총 구매액 27,534원 가운데 59%1(8,377)9(7,985)에 집중됐다. 또한 주부의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액이 많아져 30대 이하의 구매액 14,253원에 비해 60대 이상은 33,132원을 배 구입에 사용했다. 단 주부의 전업, 취업 여부와 구매액은 큰 차이가 없었다.

 포도는 국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작목이다. 포도 재배면적은 200029,200ha에서 201416,348ha로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생산량도 475,594톤에서 268,556톤으로 감소했다. 작년 가구당 포도 구입액은 53,937원이었다. 포도는 저장이 어려워 수확 즉시 출하되므로 수확기인 89월에 연간 구매액의 52%가 소비됐다.

 소비자가 구입한 포도를 품종별로 살펴보면 캠벨얼리 57%, 거봉 12%, 청포도 8%, 머루포도 6%, 적포도 5.2%의 순으로 캠벨얼리와 머루포도의 구입액은 정체 또는 감소하고 수입산인 청포도, 적포도의 구입액이 증가했다. 포도는 가구 소득수준보다 포도 가격이 구입액과 구입횟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칠레산 포도의 연간구입액이 20102,939원에서 20143,470원으로 증가해 젊은층의 수입산 포도 선호도를 반영했다.

 복숭아는 해마다 꾸준히 구매액이 증가하고 있다. 2010년도 가구당 구매액은 34,418원이었으나 2014년에는 42,193원으로 늘었다. 연간 구입횟수도 3.4회에서 3.9회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주부가 28,924, 40대 이상 주부가 39,868원을 지출했다.

 감귤은 해마다 구매액이 거의 일정한 과일로 소비자 가구당 연간 8.2회를 구매했다.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전체 구매의 51%가 이루어졌으며 연령계층에 관계없이 비교적 고르게 선호되고 있다.

 감도 해마다 구매액이 거의 일정한 과일이며 소비자 가구당 연간 5.3회를 구매했다. 감도 수확시기인 10월과 11월에 구매가 집중되어 있으며 이 시기에 전체의 53%가 구매됐다. 30, 40대 계층의 연간 구입액 24,964원 보다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48,320원으로 구입이 많았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