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 않고 도울게요!… 경기도 치매 파트너 1만 6천 명 발대식

치매 예방 및 관리 전략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도 개최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에 앞장서고 치매 이웃을 돕는 치매 파트너가 공식으로 발대했다. 경기도는 18일 오후 230분 경기도 인재개발원 다산홀에서 치매 극복의 날(9.21.)을 기념해 이기우 도 사회통합부지사, 강득구 도의회 의장, 치매파트너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치매 파트너 발대식 및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치매 파트너는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 부정적 인식 개선, 치매 노인과 가족을 이해하고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자원봉사자들로, 지난해 8월부터 모집돼 현재 도내 16800여 명이 활동 중이다. 이들은 치매에 대한 교육을 수료한 후 도 광역치매센터와 함께 거리로 나서 치매 인식개선 캠페인, 치매 상담전화(1899-9988) 알리기 등 다양한 홍보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경로당 등을 찾아다니며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체조 등을 전파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치매 파트너는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치매 환자를 도와주는 사람으로서 치매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이웃을 외면하지 않는 동반자들이다.”라며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그간 활동해온 치매 파트너의 자긍심을 높이고, 역할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말했다.

 이날 발대식에서 치매 파트너들은 치매로 어려움을 겪는 이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복한 경기도를 만들겠다는 내용의 선서문을 채택했다.

 선서문에는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노력, 치매로 어려움을 겪는 이웃을 외면하지 않기 치매 극복을 위해 다양한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잎이 무성한 나무에 물을 주고 꽃이 피어나는 모습을 담은 매직트리(Magic Tree) 행사도 진행했다. 잎이 무성한 나무는 치매가 시작되는 60대 성인을, 꽃은 새로운 희망을 상징한다. 치매도 정성을 다하면 얼마든지 행복하게 웃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세리머니이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이날 이제 치매는 더 이상 환자와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다. 치매 인식 개선과 사회적 관심을 통해 지역사회가 치매환자를 함께 돌본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치매 환자와 가족을 지지해주는 동반자로서 치매 파트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고 말했다.

 발대식에 이어 도 인재원 1층에서 치매 예방 및 관리 전략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윤종철 경기도광역치매센터장을 비롯해 이윤환 아주대 교수, 이현숙 광명시 보건소장, 김근홍 강남대학교 총괄대학장 등 전문가들이 치매 예방과 발견, 치료, 장기요양 서비스, 치매 인식 개선 등 다양한 치매 예방 및 관리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내용을 내년도 치매관리 시행계획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