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민주주의 지수 적용,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공동체 의견 수렴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 개최

새로운 학교문화위해 3개 영역, 9개 중분류, 25개 소분류, 51개 지표 구성

11월 중 단위학교 학교민주주의 지수 산출을 위한 온라인 설문 조사 실시 예정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10월 1일부터 19일까지‘학교민주주의 지수 적용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를 실시한다.  이번 권역별 토론회는 학교민주주의 지수 개발에 따른 현장 적용을 앞두고 초‧중‧고 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여 가장 타당하고 효율적인 적용 방안을 찾고자 마련하였다.  
 10월 1일 화성, 오산 지역을 시작으로 안양과천, 파주, 의정부, 군포의왕 등 권역별 거점 교육지원청 에서 학교민주주의 지수의 의미, 적용 방안, 문제점 및 한계, 향후 발전 방안 등에 대해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학교민주주의 지수란 경기도교육청이 학교문화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정책으로 단위학교의 모습을 분절적인 조각 맞추기를 통해 기계적인 통계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구성원이 단위학교의 총체적인 교육활동과 장면을 민주주의라는 관점을 통해 들여다보고 점검할 수 있는 학교민주주의 진단도구이다.
 교육공동체가 민주적인 학교의 모습을 그려보고 스스로 진단하여 보완이 필요하고 취약한 부분에 대해 함께 처방하여‘모두가 주인이 되는 새로운 학교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구체적인 지표는 3개 영역, 9개 중분류, 25개 소분류, 51개 지표로 구성하고 있지만 권역별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정할 계획이다. 

 또한, 11월 중 학교에서 학교민주주의에 대한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온라인 단위학교 위치확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경기도내 학교의 평균값’과 ‘조사에 응한 개별 학교의 지수 값’을 구해 상호 비교가 가능하며, 산출된 9개 중분류의 지수 값은 단위학교의 취약 부분을 파악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노복순 과장은 “자율과 자치의 학교민주주의 구현은 학교공동체 모두가 공감하고 있으므로 학교민주주의 지수가 자발적으로 단위학교의 총체적 변화를 이끄는 촉진 기제로 작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 봉하마을 참배
더불어민주당 안성시지역위원회(위원장 윤종군 국회의원)가 지난 21일,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를 맞아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해 묘역을 참배했다. 이번 행사에는 윤종군 국회의원, 김보라 안성시장, 백승기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해 당원과 시민 등 400여 명이 함께했다. 특히 이번 참배에는 지역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남긴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산을 미래세대가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면이었다. 참배단은 10대의 버스를 나눠 타고 오전 7시 안성을 출발해, 오후 1시 봉하마을에서 공식 참배 일정을 진행했다. 헌화와 분향 등으로 진행된 참배는 노무현 대통령의 뜻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윤종군 국회의원은 방명록에 “네 번째 민주정부, 네 번째 민주당 대통령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출범을 자랑스럽게 보고드립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지난 14주기부터 매년 수백 명의 당원과 시민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올해는 대선 승리 후 찾아뵐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자리였다. 안성과 대한민국의 변화를 바라는 시민들과 당원들의 열망을 다시금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참가자들은 참배를 마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