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하반기 중소기업 수출 회복 총력

해외 경기비즈니스센터(GBC) 2개소 신설

 경기도는 최근 수출 감소로 고통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기업의 조기극복을 위해 제2회 추가경정 예산에 12억 원을 확보했다고 10월 4일 밝혔다. 도는 이 예산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여파로 인한 매출 감소, 세계 경제둔화 및 엔·유로화 약세에 따른 수출 감소, 가격경쟁력 약화 등으로 삼중고를 겪는 도내 수출 중소기업 728개사를 직접 지원하고 해외 경기비즈니스센터(이하 GBC) 2개소 설치에 사용할 계획이다.

 우선 수출 거래 시 발생하는 환위험으로부터 중소기업을 보호하는 수출보험료 지원 사업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당초 1,000개사였던 지원대상은 400개사 늘어난 1,400개사로 확대된다. 도는 이를 통해 하반기 극심한 환율 변동과 금년 중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예고로 인한 중소기업의 환위험 불안요인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수출활동과 해외시장 개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제 전자상거래시장 개척을 위한 온라인해외마케팅 지원사업도 확대한다. 이 사업은 글로벌 B2B 마케팅, 해외 온라인쇼핑몰 구축, 유튜브 마케팅 활용을 위한 동영상 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당초 214개사에서 110개사를 추가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원하는 전시회에 참가하고 경기도에서 참가비를 일부 지원하는 해외전시회 개별참가 지원 사업은 50개사 늘어난 155개사를 지원키로 했다.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전시회 단체관 참가 지원에 32개사를 추가 지원하며, 신흥 유망지역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한 통상촉진단도 당초 70개사에서 110개사로 늘리기로 했다.

 해외 수출기반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해외 경기비즈니스센터(이하 GBC)2개 지역에 추가 확대한다GBC는 독자적으로 해외진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대신하여 시장조사, 해외 거래선 발굴, 거래주선 역할을 수행하고 해외G-FAIR와 통상촉진단 및 수출상담회에 해외바이어를 찾아 연결해주는 중소기업 수출 도우미로서 매년 3,500여개사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신규 설치 지역은 한국 수출이 많고 금년 중 FTA 발효가 유력한 중국과 베트남으로, 도는 이들 지역에 GBC를 설치하면 거대한 내수 소비시장 및 한류시장 공략을 통해 도내 중소기업 수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GBC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말레이시아에 5개국 6개소가 운영 중이며, 올해 2개소가 신설되면 6개국 8개소로 늘어난다.

 경기도 최현덕 경제실장은 경기도의 중소기업이 활기를 찾아야 대한민국의 수출이 늘고 일자리가 확대될 수 있다, “도내 28천 여 수출중소기업이 수출부진에서 하루빨리 빠져나와 대한민국의 수출역군이 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이지비즈 홈페이지(www.egbiz.or.kr)에서 하반기 경기도 해외마케팅지원사업 대상을 모집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국제통상과(031-8008-2461, 4604)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