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이 현실로‥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멋랩에서 멋내볼Lab?

각종 영상, 사진촬영 가능한 ‘멋스튜디오’도 함께 운영 중

 경기도와 의정부시가 공동 설립한 디자인·제조 융합 콘텐츠 창업 공간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 멋랩을 올 연말까지 시범운영 한다.

 1028일 도에 따르면 멋랩은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가 운영중인 팹랩(Fab Lab : Fabrication labotory)형 디지털 장비실로, 3D프린터, 레이저커터 등 각종 디지털 제작 장비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기술적 아이디어를 실험·구현할 수 있는 공공 공작소다.

 현재 멋랩에서는 레이저로 물건을 자르거나 표면에 마킹을 할 수 있는 레이저커터,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잉크를 순간 경화시켜 목재나 금속, 섬유 등에 인쇄할 수 있는 UV프린터, 3차원 형상을 밀링 가공하는 절삭 기기인 CNC조각기, 소형 CNC조각 기능과 소형 밀링, 드릴, 연마 등의 다양한 공작 기계로 활용 가능한 소형공작기계,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는 방식), Polyjet(광경화성수지를 자외선으로 굳히는 방식) 2가지 방식의 3D프린터 등 각종 기기를 보유하고 있다.

 디자인·제조업 융합 기반 창업 관심자 및 기 창업자, 창의 메이킹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며, 직접 또는 멋랩 운영자의 기술지원을 통해 디지털 장비를 사용하면 된다. 특히, 초보자들을 위한 기본 장비교육이 매주 진행되고 있어 장비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에는 오후 7시부터 초보자를 위한 UV프린터/레이저커터 교육을 진행하며, 목요일에는 오후 7시부터 3D프린터 교육을 실시한다. 이 밖에도 3D프린터 심화교육과 미니드론 제작 교육, 미래소식 포럼, 도내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을 위한 교육도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에서는 제품 홍보용 영상, 사진 촬영이 가능한 멋스튜디오도 함께 운영, 도내 (예비)창업자들의 홍보 마케팅을 지원중이다. 멋스튜디오의 카메라와 조명장치 등은 간단한 회원가입과 장비 사용신청을 통해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멋랩과 멋스튜디오의 이용을 원하는 사람은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를 직접 방문하거나 유선전화(031-877-2732)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관련 교육 수강 신청은 블로그(http://blog.naver.com/mhubgdca) 또는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meothub)을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경기도 관계자는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의 멋랩과 멋스튜디오는 도내 창업 관심자와 (예비)창업자의 성공적 창업과 창작자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공공공작소라며, “멋랩과 멋스튜디오를 통해 경기 북부의 메이커 간 교류가 늘어나고, 다양한 융합 기반 창업을 통한 북부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