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 E-비즈니스 정예농업인 양성

수료생 블로그기자단 등 지속적인 활동 추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추진한 E-비즈니스 전문농업인 양성교육이 실질적인 농가소득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이 교육은 SNS를 활용한 농산물 판매 활성화를 선도할 1% 정예농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19118시간에 걸쳐 53명의 농업인이 참여했다.

 교육생 설문조사 결과, 교육 후 느끼는 소득 향상률은 58.1%로 교육이 실질적인 농산물 홍보효과와 판매효과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참여한 한명희씨는 항상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느꼈는데 이번 교육을 통해 정말 많은 도움이 됐다.”우수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잘 홍보하고 판매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고 말했다.

 교육은 자신의 블로그 문제점 분석을 시작으로 블로그 마케팅, 스토리텔링, SNS 종류별 상품 홍보전략 등 농산물 홍보능력 향상과 SNS 콘텐츠 제작, 애플리케이션 활용 등 온라인 마케팅 등으로 구성했다. 특히 이론 강의와 함께 농가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참여형 실습을 병행하고, 배운 것을 농장에 바로 접목해 홍보할 수 있도록 해 교육생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

 임재욱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 교육이 농업인들에게 SNS를 통한 농산물 홍보와 판매 촉진 계기가 되길 바란다.”전자상거래 활성화로 농가 경쟁력 확보와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E-비즈니스 전문농업인 양성 교육수료식은 1110일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2층 강당에서 열렸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