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순환버스, 전철보다 16분 빨라… 연간 63억 원 절감효과

노선 직선화, 편리한 환승체계, 인지도 높이는 것이 관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해 경기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경기순환버스는 전철 대비 16분이 빠르며 이를 시간가치로 환산하면 연간 63억 원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순환버스 5년 평가와 향후 과제> 연구보고서에 담긴 내용으로, 경기연구원은 20108월 운행을 개시한 경기순환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경기순환버스는 현재 8106(부천성남) 17, 8109(성남고양) 16, 8407(고양군포) 9, 8409(수원의정부) 11, 8906(양주안양) 10대가 운행 중이며 청계, 성남, 구리, 불암산, 양주, 김포, 시흥 요금소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경기순환버스는 개통 3년째인 20139월 이용승객이 13,500명에 이르렀다. 201510월 일일 승객 수 12,279명을 노선별로 분석한 결과 부천성남 간 8106번이 3,905명으로 가장 많으며, 성남고양 간 8109번이 3,234, 고양군포 간 8407번이 1,913, 수원의정부 간 8409번이 1,741, 양주안양 간 8906번이 1,486명으로 나타났다.

 경기순환버스와 전철 이용 시 통행시간을 비교하면 경기순환버스가 평균 16분 빠르다. 노선별로는 8106(부천성남)26, 8109(성남고양)10~21, 8407(고양군포)31, 8409(수원의정부)28분 빠르며 8906(양주안양)은 전철보다 15분 느린 것으로 파악됐다.

 전철을 이용하는 대신 경기순환버스를 이용함에 따라 얻게 되는 시간가치 절감효과는 5년간 317억 원이며, 이는 연간 63억 원 수준이다. 산출식은 이용승객수×통행시간 차이×연도별 시간가치×대중교통 이용일(310/)’이며, 이용수요가 안정화되기 이전인 2011년에는 51억 원이었으나 2012년부터는 연간 63억 원을 유지하고 있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버스 통행시간이 길어지면 전철과의 시간 경쟁에서 우위를 갖지 못하므로 노선을 직선화하여 승객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노선 직선화와 통행시간 단축을 위한 정류장 추가 설치를 제안했다. 외곽순환고속도로 정류장에서 지하철전철역으로 환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곳을 파악하여 환승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출퇴근 상습정체 요금소인 구리, 성남, 청계 요금소 전후 1km 구간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면 신속한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파악된다. 요금소 가장자리 차로에 하이패스를 추가설치하면 환승정류장과의 접근도 용이해 질 것이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끝으로 운행 5년이 지난 경기순환버스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M버스처럼 외부 디자인을 새롭게 변경하고 G버스 TV를 통해 경기순환버스 환승 안내 홍보도 활발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