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주도의 예술체험 ‘꿈이음아트’ 운영

전문단체와 학교가 함께하는 문화예술 프로젝트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5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학생주도의 예술체험 ‘꿈이음아트’ 를 운영한다.  ‘꿈이음아트’는 학생이 만들어가는 예술체험으로 일반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진로 준비를 돕기 위해 마련했으며, 희망학교는 신청을 받았고 문화예술 전문기관 및 단체는 공모로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학교 지원 문화예술 단체는 ▲ 공연예술 창작소 공감DO - 연극(뮤지컬), ▲ 바투 심미적통합예술교육연구소 – 연극(뮤지컬), ▲ 교육극단 산타클로스 –연극, ▲ 극단 학마을 – 연극(뮤지컬), ▲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 – 연극(뮤지컬), ▲(사)부천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미술체험 등 6곳이다.

 지원을 받는 학교는 김포 솔터고, 파주 율곡고, 안양 충훈고, 오산 성호고, 남양주 별가람고, 양평고 등 6교이며, 연극, 뮤지컬, 미술프로젝트 등 학생주도의 다양한 예술체험과 공연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학생중심의 예술교육을 실현할 계획이다.

 5월 24일에는 솔터고에서 ‘극단 학마을’의‘15주 완성! 나만의 식스팩(식상한 생각은 가라, 스스로 만드는 뮤지컬 팩토리)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학교현장에서 접하기 어려운 뮤지컬 공연을 통해 마음껏 뛰어놀고 서로 소통하며 내재된 끼와 재능을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5월 26일에는 양평고에서 ‘극단 학교에 연극을 심는 사람들’이 ‘톡톡! Wake Up 뮤지컬! 공연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춤, 노래, 연기 트레이닝 등 공연 준비과정을 체험하면서 타인에 대한 배려, 협동, 공감 능력을 기르게 된다.

 특히, 오산 성호고에서는 ‘(사)부천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이‘애니 문화 읽기’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성장통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스토리텔링 교육을 실시한다. 애니메이션의 스토리를 통해 정서적 몰입과 공감을 통한 감성적 체험은 물론 창의성과 감성, 그리고 문제해결능력도 함께 기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같은 프로그램으로 꿈이음아트에 참여하는 모든 고등학교에 찾아갈 예정이다.

 또한, 학생주도 예술체험‘꿈이음아트’프로젝트는 진행된 모든 공연과 작품은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시설과 전시장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의 축제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자존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행복한 예술 경험을 누리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단체와 학교 담당자는 정기적인 만남과 운영 사례 공유의 시간을 갖으며, 오는 11월에는 학교별 운영 성과 발표회 및 평가회를 실시하고 우수사례는 경기도내 학교에 일반화 할 예정이다.

 경기도교육청 홍성순 문예교육과장은 “앞으로도 학교 현장의 문제를 문화예술로 치유하고 회복하는 현장밀착형 문화예술 지원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며, “꿈이음아트를 통해 학생이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