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교육감,‘발랄한 반란’기대!

경기도교육청 청소년 방송‘꿈을 터 드림(Dream)’개국

 전국 최초! 경기도교육청 청소년방송 미디어경청‘꿈을 터 드림(Dream)’개국 공개방송이 15일 오후 의정부 몽실학교 청소년방송 제작센터에서 열렸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이 자리에 참석하여 청소년방송을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학생들을 격려하고 팟캐스트에 참여했다. 

  배정은(동패고1), 조시영(고양외고1) 학생의 사회로 지난 1년여의 활동 성과물을 모은 영상콘텐츠 상영, 청소년 방송위원회 소개, 청소년이 만든 영상광고 상영, 꿈의 영상 예고편, 뉴스WE제작 시연, 교육감과 함께하는 ‘보이는 팟캐스트’공개 방송이 진행 되었다.

 특히, 뉴스WE제작과정은 송채은, 정가영 학생이 MC를 맡아 생생스튜디오에서 라이브캐시팅 생방송으로 시연했으며, 스토리텔러(우희진), 우바시강연(안예주), 촬영(조성원, 김우진, 고광원), 총괄PD(김성태) 등 모든 것을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며 톡톡스튜디오, 청소년미디어센터 등을 소개했다. 이어서, 조명호(망포고2), 김벼리(현화고3), 최고은(안법고1) 학생의 진행으로 라디오 팟캐스트 ‘청아’공개방송이 이어졌다.

 팟캐스트 중간에 최주완 몽실학교 공간운영자치위원장이 게스트로 참여해 몽실학교를 소개했으며, 권비호, 이현빈, 이다인 학생 등은 립덥으로 학생들이 이용하는 몽실학교 여러 공간들을 랩으로 안내했다.

 이재정 교육감은 팟캐스트 방송 중간에 초대되어 “몽실학교와 청소년방송센터 등이 정말 멋지게 탈바꿈되었다”며, “우리 모두 매일 매일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고, 청소년들이 함께 세상을 탈바꿈하는 곳으로 바꾸면 좋겠다”고 소감을 말했다.

 학생들이 몽실학교 운영과 참여를 어디까지 해야하나?라는 질문에 “교육감, 교장이 주인이 아니라 여러분, 학생이 주인”이라며, “누구에게 허가 받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이 소통하고 화합하여 재미있게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 교육감은 앞으로의 청소년방송 방향과 비전에 대한 질문에 “경기도 160만 학생들의 목소리를 잘 담아내, 정말 자유롭게 여러분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마음껏 전달하는 매체가 되길 바라다”며, “현재 2,400여명의 미디어경청 기자단이 만명, 10만명이 되어 여러분의 마음속 이야기와 새로운 비전을 이 사회에, 학교에, 전 국민에게 이야기 하는 ‘발랄한 반란’의 힘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청소년방송 ‘미디어경청’은 인터넷신문, 영상콘텐츠, 라디오 팟캐스트 등의 콘텐츠를 가지고, 홈페이지, 페이스북, 네이버포스트, 유튜브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청소년들이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방송이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지난 9월20일 (구)북부청사를 리모델링하고 새롭게 시작한 ‘몽실학교’에 대한 소개와 학생들이 운영하는 몽실학교 공간운영자치위원회 출범을 알리며, 경기뮤지컬 꿈의학교, 아룸 앙상블 꿈의학교 등 몽실학교 학생들의 공연도 함께 펼쳐졌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겉은 멀쩡했지만, 속은 비어 있었습니다’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느티골 인근에서 지난 10일 오전 7시 40분께 24톤 탱크로리 한 대가 도로 붕괴와 함께 하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 차량을 운전하던 청년은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과거 본인과 함께 독일 바이오가스 축산시설을 견학하며 안성 축산의 미래를 이야기했던, 누구보다 성실한 청년 축산인이었다.” 최호섭 시의회운영위원장은 “처음 그 소식을 들었을 때 단순히 ‘도로가 무너졌다’는 충격을 받았는데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큰 공포와 분노, 그리고 책임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덧붙여 말했다. “사고 당시 도로는 외관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그 속은 이미 텅 비어 있었으며, 폭 2m 남짓한 하천변 콘크리트 농로는 기초 보강 없이 흙 위에 콘크리트 판을 얹은 단순 구조였고, 하중 분산이나 침식 저감 설계는 전무한 상태로 그야말로 ‘도로의 탈을 쓴 위험지대’였던 셈이다. 이번 사고는 상하수도관 누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도로 구조에 대한 사전 검토 부족, 부적절한 시공, 사후 점검 부재 등 복합적인 관리책임상의 문제가 겹쳐진 결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형사적 책임이나 행정상 과실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적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