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천동현 의원

도립공원내 전기자동차 운행 촉구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소속 천동현(새누리당, 안성1) 의원은 지난 3일 공원녹지과 관련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립공원내 전기자동차 운행을 주장했다고 밝혔다.

 천동현 의원은 남한산성도립공원은 60~80년생 우량 소나무림이 울창하고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도심 속의 쉼터로 활용되고 있으나, 도립공원내의 차량운행으로 인한 배기가스가 토양을 산성화시켜 산림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천동현 의원 자료에 따르면 남한산성도립공원 일원의 총 주차대수는 945대이며, 이중 607대수가 산성내에 마련되었고, 현재 도립공원내 2,370m2를 주차장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동현 의원은 산성내에 주차장을 조성하는 것을 지양하고, 점차적으로 남한산성 외부에 주차장을 조성하여야 하며, 탐방객의 편의를 위해서는 전기차 셔틀버스를 운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천동현 의원은 최근 들어 정부 및 지자체가 대기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로 교체하는 사업을 시행하는 상황에서 경기도가 지정한 도립공원에는 우선적으로 전기차를 운행해야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