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청년기본소득’ 개시

24세 청년에 연 100만원 지급, 1분기 접수 시동

 경기도가 청년기본소득을 개시, ‘이재명표 기본소득의 신호탄을 쐈다. 지급대상은 도내에 3년 이상 거주한 24세 청년에게 소득 등 자격 조건에 관계없이 분기별로 25만 원씩 연간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제공하는 정책으로 1분기 신청대상자는 199412~199511일 출생자다.

 연령 및 거주기간 등 충족 여부를 확인한 후 25만 원의 지역화폐가 전자카드 또는 모바일 형태로 이달 20일부터 차례대로 지급된다.

 도는 올해 1~4분기에 걸쳐 175천 명(경기도 추산)에게 청년기본소득을 시행할 예정이다. 총 액수는 1753억 원(도비 70%, 군비 30%)이다. 지급받은 지역화폐는 주소지 지역 내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업체 등에서 현금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화폐 특성상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유흥업소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매년 비슷한 규모의 신청자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4년간 총 지급액수는 712억 원에 달한다.

 이번 정책은 농민소득,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등 이재명표 기본소득 중 첫 번째로 현실화된 사안이다. 이재명 도지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량실업문제의 해법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했다.

 한편 청년기본소득 신청은 시군청이나 주민센터가 아닌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바에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 인증한 후 온라인으로 진행해야 한다. 다만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지원을 받은 사람은 동일 연도 동시 지급이 불가능하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시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호평 일색‥“올해는 이렇게 즐기세요!”
가을 축제의 대명사,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지난 9일 개막식을 진행한 가운데 한층 성숙해진 모습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올해 바우덕이 축제는 웅장한 메인게이트를 시작으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부스와 프로그램이 펼쳐져 눈길을 끈다. 축제장 입구에 마련된 종합안내소를 통해 각종 문의가 가능하고, 걸음을 옮기면 왼편에 보이는 대형 바우덕이 캐릭터와 테마파크를 마주한다. 올해 새롭게 구성한 이곳은 남사당 6(여섯)마당을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몰입형 전통 놀이 공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누구나 실제 외줄 위에서 어름(줄타기) 체험이 가능하고, 전통 인형극을 직접 해보는 덜미(꼭두각시극), 풍물 원데이 클래스, 바우덕이 페이스 페인팅, 덧뵈기 가면 만들기 등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수원에서 방문한 김모(40대·남)씨는 “매년 가을이면 바우덕이 축제를 빠지지 않고 찾아왔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공간구성이 잘 되어있어 이동하기에 편하고, 무엇보다 다채로운 체험이 있어 아이들이 좋아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미있는 추억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바우덕이 테마파크를 체험했다면, 조선시대 3대 시장 중 하나였던 안성 옛장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