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과 연계한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안성교육지원청, ‘안성혁신교육지구’ 지원

 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김송미)이 안성시와 연계하여 마을과 연계한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해 2020년부터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안성지역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마을과 연계한 학교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안성시가 한경대 정미경 교수팀(연구 책임자 정미경, 공동연구원 권재기, 최영미)에게 연구용역을 의뢰하여 개발한 후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의 자문를 받아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마을'을 진로교육활동 장소로 삼아 프로젝트 형식의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꿈 스위치 켜기 프로젝트’를 campus(대학으로) Go(가서) Car(Career 찾기) : 캠코카와 Go(고장으 로) Go(가서) Car(Career 찾기) : 고고카의 두 가지 프로젝트 유형으로 개발했다. 초, 중, 고 학교 급별로 교수‧학습지도안과 활동지를 총 6종을 제작 했다. 학교에서 2020년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12월중에 자료를 학교에 보급할 예정이다.

 교육지원청 관계자는“안성 꿈 스위치 켜기 프로젝트는 일상생활에서 스위치를 켜고 끄는 것처럼 진로교육을 통해 자신이 생각했던 꿈과 활동 후 적성에 맞아 꿈을 구체화하기도 하고(On), 생각한 꿈과 다른 경우에는 꿈을 깨기도 하는(Off)과정을 모티브로 개발하여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안성의 학생들에게 매우 필요한 것이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짓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