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학생자치회‧청소년교육의회가 여는 학교민주주의 아고라

‘교육장과 함께하는 공감토크’ 개최

 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김송미)이 지난 6일 오후 3시부터 ‘학생이 행복한 안성교육을 위해, 학생시민이 제안하는 안성 교육정책’이라는 슬로건으로 안성학생자치회‧청소년교육의회가 주관하는 ‘2019 교육장과 함께하는 공감토크’를 개최했다.

 이번 공감토크는 안성 청소년들의 안성교육에 대한 생각을 교육장과 소통하는 기회라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안성 청소년교육의회‧중등 학생자치회 대표 학생 중 참여 희망자를 사전 선발하여 분임별 토론활동을 통해 정책제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안성 청소년들이 2019년 한 해 동안 추진해 온 학생자치 프로젝트 활동을 소개했다. 이후 분임별로 학교안전, 청소년 문화시설, 진로 교육, 체험학습장 확대 등 안성교육 발전을 위해 제안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교육장의 답변으로 이어졌다.

 행사에 참여한 한 학생은 “학생들이 행복한, 더 좋은 안성을 만들기 위해 교육장님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는 것이 의미 있었다.”며 “우리 분임에서 제안한 정책이 반영된다면 지금보다 더 학교생활이 즐겁고 행복할 것 같다.”는 소감을 밝혔다.

 김송미 교육장은 “안성 학생들이 우리 마을 발전을 위해 함께 고민하는 이런 경험을 통해 공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시민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며, “자기 생각을 자신 있게 이야기하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모아 정책을 도출해 내는 멋진 모습이 참 자랑스럽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