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코로나19 대응 한시적 긴급복지 제도 확대 추진

위기가정, 특수형태 근로자 포함 1천500명 혜택

 안성시가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가구를 지원하기 위한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긴급복지지원제도는 기준중위소득 75% 이내(4인 가구 기준 356만원), 금융재산 500만원 미만인 가구 중 개별 가구의 위기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원하는 사업으로 안성시는 정부 방침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등으로 생계유지 어려운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프리랜서 종사 가구 등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7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긴급복지 선정기준을 완화, 적용한다고 밝혔다.

 선정기준의 완화 조치에 따라 소득 기준은 동일하나 금융재산 기준은 가구원수에 따라 675만원에서 1천238만원까지 완화되며, 재산 기준은 1억1800만원에서 1억6000만원으로 증액됐다.

 긴급복지지원 신청은 주소지 읍·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 맞춤형복지팀 또는 안성시청 복지정책과 희망복지팀(☎ 678-5432, 5434,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를 통해 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관내 911가구 1,514명의 시민이 긴급복지지원 혜택을 받아 위기상황을 해소했다”며 “코로나19 대응 긴급복지 제도가 개선되어 실직, 휴·폐업, 질병·부상 등 위기 상황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건설기계 운전원, 학습지 교사, 골프장 캐디, 택배원, 퀵서비스기사, 대출모집인, 신용카드회원 모집원, 대리운전기사 등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소방서, ‘소방공무원 사칭 물품구매 사기 요주의’
안성소방서가 최근 소방공무원을 사칭해 물품 주문을 유도하거나 금전을 편취하는 이른바 ‘노쇼(No-Show) 사기’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구급물품이나 방열복 대리 구매 요청, 열쇠업체에 도어락 설치비용을 요구하는 등의 수법으로 전국 각지에서 사기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안성 관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신고가 3건 접수됐다. 안성소방서의 신속한 대응으로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특정 기관 소속 직원의 실명과 부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거나 직인이 찍힌 허위 공문서를 활용하는 등 사기 수법이 날로 정교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것. 이에 시민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방기관은 민간업체나 소상공인에게 물품 구매를 대리 요청하거나 문자로 구매 지시를 하지 않으며 △‘공무원이나 소방관을 사칭한 연락을 받으면 즉시 해당 기관에 사실 확인을 요청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전화로 금전 요구가 있을 경우, 절대 응하지 말고 경찰 또는 소방청에 신고할 것을 안내했다. 신인철 안성소방서장은 “공공기관의 신뢰를 악용하는 범죄는 국민의 안전까지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소방서를 사칭한 사기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