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면 경기행복마을관리소’ 현판식 개최

마을 공공 일자리와 공동체를 되살리며 주민생활 편의 도모

 대덕면은 행복지킴이와 사무원, 면사무소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31일 주민자치센터 앞에서 행복마을관리소 현판식 행사를 가졌다.

 행복마을관리소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복지, 문화, 공동체, 도시재생 등 지역사회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경기도 시책사업으로 ‘대덕면 경기행복마을과리소’의 거점관리소는 주민자치센터 1층에, 현장관리소는 외국인과 1인 가구가 대분을 차지하는 내리 대학인 마을에 설치했다.

 9월 1일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위해 관리소에는 공개모집으로 채용된 행복마을 지킴이와 사무원 10명이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2교대로 근무한다.

 주요사업으로 코로나19 방역 및 캠페인, 쓰레기불법투기 야간감시, 대학인마을 외국인과 원주민의 상생사업 발굴조사, 택배보관 및 전달 서비스, 지역밀착 순찰활동, 취약계층 간단 집수리 서비스 같은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승린 대덕면장은 “행정서비스가 채울 수 없는 공간을 행복마을관리소가 촘촘히 채우고 주민생활 편의지원을 위한 거점이 되어 지역의 행복소통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