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대 모의창업 프로그램 ‘창농팜’

2020년 교육분야 정부혁신 교육부 대표 사례 선정

 국립한경대학교가 운영중인 예비청년농부 모의창업 프로그램인 ‘창농팜(farm)’이 교육부에서 주최하는‘2020 교육분야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표 사례로 선정됐다.

 창농팜은 창농 희망자가 창농을 위해 일일이 찾아다니던 기존 시스템의 차별화를 통해 ‘개인맞춤형 원스톱 시물레이션’ 창농교육시스템을 구축해 실제 창농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창농에 대한 환상으로 귀농했지만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 실패사례도 만만치 않은 현실에서 ‘창농팜’ 프로그램은 전문가들과 1:1 매칭하여 체계적,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그램 이수 후 수료생의 46%가 실제 창업으로 이어졌으며, 성공률 100%라는 놀라운 기록을 보이며 창농 성공사례로 언론사의 취재도 끊이지 않고 있다.

 2020 교육분야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전국 대학교, 교육청 등에서 교육분야에서 정부혁신 핵심가치를 실현한 우수사례를 선발하기 위한 대회다.

 교육부는 전문가 심사 및 국민심사단의 공정한 평가를 거쳐 ‘창농팜’사업을 포함한 총 10개의 사례를 최종 결정전에 올려놨고, 10월 20일부터 27일까지 8일간 전 국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선호 평가로 최종 우수사례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창농팜(Farm)’프로그램은 범정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행정안전부 주관)에도 교육부 대표사례로 추천되는 등 농업발전 우수사례로 좋은 평가가 계속되고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