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2021년도 본예산 15조 9,218억 원 편성

올해 본예산 대비 5,432억 원 감소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이‘2021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

 2021년 경기도교육청 본예산(안)은 총 15조 9,218억 원으로, 중앙정부이전수입 12조 5,729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2조 8,668억 원, 기타 이전수입·자체 수입 등이 포함됐으며 지난해 본예산보다 5,432억 원 감소한 규모다.

 세입 재원 감소 주요 원인은 코로나19와 국내외 경기 악화로 중앙정부이전수입 가운데 보통교부금이 2020년 본예산 대비 2,316억 원, 경기도청으로부터 전입되는 지방교육세가 올해 본예산 대비 2,305억 원이 줄었기 때문이다.

 2021년도 예산은 재원 감소에 따른 불요불급한 사업비 미편성 등 재정운용의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고교 무상교육·무상급식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미래교육 기반 조성 등에 편성했다.

 2021년도 경기도교육청 예산안 중점 편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무상교육·무상급식

 2021년 고교 무상교육·무상급식 예산은 총 1조 4,812억 원을 편성했다. 고교 무상교육 예산은 5,934억 원으로, 공립 입학금과 수업료 감면분과 입학금, 수업료, 학교운영지원비, 교과서비를 포함한 금액이다. 이에 따라 내년도에는 경기도의 모든 학생이 무상교육 혜택을 받는다. 무상급식 예산은 8,878억 원을 편성했다.

2.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예산 총 1조 270억 원을 편성했다. 세부 내역은 개발지역 학교 환경 조성을 위한 신·증설비 3,853억 원, 학교안전·시설환경 개선 1,824억 원, 학교 실내체육관 건립 973억 원, 급식기구·시설 확충 800억 원, 그린스마트스쿨 154억 원, 학교공간혁신 189억 원 등이다.

3. 미래교육 기반 조성

 코로나19로 인한 온·오프라인 병행수업과 미래교육 기반 조성에 1,082억 원을 편성했다. 군서미래국제학교 설립 운영 41억 원, 학생용 테블릿 지원과 온·오프라인 병행 미래형 수업혁신 92억 원, 진로직업 교육 628억 원 등이다.

 또한, 수업 운영 교사 지원, 저소득층 학생 인터넷 통신비와 온라인 학습기기 지원 등 미래환경 구축을 위해 79억 원을 편성했다. 이 밖에 도교육청은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에 1조 1,388억 원, 코로나19 대응 방역물품 118억 원, 학교 기본운영비 1조 1,020억 원, 교직원 인건비 등 경직성 경비로 10조 7,146억 원을 편성했다.

 하지만 세입 재원이 크게 감소한 반면 △교직원 인건비 상승분 3천900억 원 △남부청사 이전 시설비(계속사업) 684억 원 △고교무상교육비 985억 원 △교원장애인고용부담금 146억 원 △지방교육채 상환금 562억 원 등을 새롭게 추가 반영해야 하는 상황이다.

 교직원 인건비는 소요액 대비 3,599억 원을 반영하지 못했으며, 공·사립 학교기본운영비는 5%인 553억 원을 감액 편성했다.

 개발지역 학교 신증설비는 올해 대비 4,080억 원 감액한 3,853억 원,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에 4,389억 원 감액한 6,417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해마다 반복되는 시설비의 이월사업 방지를 위해 설계, 착공 등 공정별 검토를 통해 2021년도에 필요한 최소한의 금액을 반영한 것이다.

 경기도교육청 이한복 정책기획관은 “우리 교육청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부족한 재원 확보를 위해 정책사업을 대폭 정비했다”라며, “미래교육 기반 조성과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에서 최상의 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예산의 효율적 편성에 주력했다”고 말했다.

이번 예산은 2020년 11월 3일부터 열리는 제348회 경기도의회 정례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