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맞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 개발

안성교육지원청, 지역의 경계를 넘어 배움공간 확장 박차

 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김송미)이 새롭게 발간할 교육생태계 자원지도 제작을 위해 지역에 대한 이해가 깊은 학예연구사와 교원 등으로 이러어진 안성맞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 개발위원회를 구성, 지난 18일 협의회를 진행했다.

 학교와 마을의 경계를 넘어 학생들의 배움의 공간을 확장하고 지역과 연계한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2021(개정판) 안성맞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를 제작해 내년 신학기 전까지 관내 모든 학교에 보급할 계획이다.

 2021(개정판) 안성맞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는 지역연계 학습 생태계 확장을 위해 안성지역의 배움터를 8대 영역(예술, 인문, 역사, 통일, 인성, 과학, 자연(생태), 미래)으로 분류하고 지역의 인적 인프라를 함께 안내함으로써 단위 학교의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특히 체험터마다 QR 코드를 기입하여 이용자들이 해당 체험터의 홈페이지에 바로 접속하여 자세한 내용을 사전에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안성혁신교육지구 원클릭 홈페이지에 지역별, 영역별로 교육생태계 자원지도를 탑재하여 내년 2월 온라인 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 앞부분에는 안성에 대한 자세한 소개 및 책자 활용 방안에 대한 안내 자료를 수록하고 자원 목록별 체험터 안내와 더불어 뒷면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인물 소개 및 골든벨 문제를 담아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안성교육지원청 관계자는“안성맞춤 교육생태계 자원지도를 활용하여 학생들 스스로 체험 및 진로탐색 활동을 기획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며 “올해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을 할 기회가 없었는데 내년에는 지역의 여러 기관과 협력하여 가상체험 프로그램(VR)등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이해와 학교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