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교육지원청, 혁신교육의 새 장을 열다’

초중고 함께 성장하는 2030 안성 미래형 지역혁신 추진

 안성교육지원청이 2030 안성 미래형 지역혁신 강화를 통해 2022.3.1.자 안성교육지원청 관내 초・중・고교 총 56개교 중 95%인 53개교를 혁신학교로 확대 전환, 지역혁신 교육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안성교육지원청에 따르면 2030 안성 미래형 지역혁신 계획을 수립, 공교육 정상화를 넘어 새로운 상상과 도전으로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안성형 혁신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혁신공감학교를 혁신학교로 전환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학교와 지자체 전문가로 안성 미래형 지역혁신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역혁신에 관한 방향을 설정했고, 혁신교육운영협의회, 혁신네트워크, 실천연구회, 혁신교육포럼, 마을교육 협의회를 병행하여 운영하면서 관내 초・중・고 학교급별 학교장과 혁신부장을 대상으로 ‘혁신전환 공감토크’를 진행했으며, 학교별 학부모(학교운영위원회) 대표 약 220명이 참여하여 ‘입시를 넘어선 혁신’이라는 부제로 혁신교육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통해 안성 지역형 혁신교육의 의미와 본질을 살폈다.

 혁신공감팀이 운영하는 ‘찾아가는 지역혁신 공감토크’는 혁신교육과 혁신학교, 혁신학교 학력, 혁신학교 생활지도 주제로 진행하여 혁신교육의 경험을 함께 공유하면서 많은 학부모의 공감뿐만 아니라 단위학교 교직원 그리고 학부모운영위원회의 공감을 끌어냈다.

 혁신 12년 차 종합평가 교인 경기창조고는 6월 1일에 대면・비대면으로 고3 수업(국・영・수・사・과)을 관내 교육공동체에 공유했고, 혁신 2년 차 성장 나눔 교인 양진중학교도 6월 30일 스마트교실을 대면・비대면으로 공유하여 지역 축제의 장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