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대-KOICA, 파키스탄에 농업생산기술 전수한다

한국의 첨단 농축산 기술 전수 통해 농축산업 생산력 제고, 역량강화 도모

 국립한경대학교 국제개발협력사업센터가 이달 8일부터 15일까지 8일간 파키스탄 건조농대(PMRS-Arid Agriculture University Rawalpinddi) 농업전공 교수진 22명을 대상으로‘ 파키스탄 농축산업 생산력 제고 역량강화’온라인 연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한국의 농․축산 분야 정책과 산업발전 모델, 한국의 첨단 농․축산 기술을 파키스탄 건조농대에 전수하기 위해 한경대가 단독으로 추진했다.

 연수는 파키스탄의 농작물 생산과 소비 격차 해소와 스마트 농업, 고수익 품종 개발에 필요한 농업생산기술을 중점적으로 강의했다.

 파키스탄 건조농대는 수도 이슬라마바드 근교 라왈핀디에 위치해 있다. 건조농대는 말 그대로‘건조한 지역’의 농업 기반 및 기술을 연구하고 농업의 발전을 돕는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센터 남인식 센터장은“이 사업이 파키스탄 건조농농대의 농․축산물 분야 중심 대학으로 성장하고. 더 나아가 파키스탄의 국가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