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현안 해결 의지 담아 ‘험지’ 의원실 배정 자청한 당선인 화제

윤종군 당선자, ‘안성역’ 유치 염원 담아 1011호 요청해 배정받아

 5월 30일, 제22대 국회 등원일을 앞두고 국회에서는 의원실 배정이 한창이다. 의원실은 국회의원 당선자들에겐 4년 동안 살아갈 ‘보금자리’다. 그만큼 좋은 ‘방’을 배정받기 위한 물밑 경쟁이 뜨겁다.

 물밑 경쟁이 뜨거운 만큼 ‘선수’가 높은 의원부터 좋은 방을 배정해 주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그래서 ‘선수’라는 ‘빽’이 없는 초선 의원들은 이른바 ‘험지(?)’로 내몰리기 일쑤다. 대표적인 ‘험지’는 10층. 이른바 ‘본청’이라 불리는 국회의사당에서도 멀고, 엘리베이터 사용 등 많은 불편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강이나 여의도가 훤히 내다보이는 바깥쪽 방은 사정이 좀 낫다. 그래서 10층 안쪽에 자리 잡은 방은 의원실 가운데 ‘험지 중에서도 험지’로 ‘최악의 험지’인 10층 안쪽 의원실을 일부러 자청해 배정받은 당선자가 있어 화제다. 경기도 안성의 윤종군 당선자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안성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유일하게 전철역과 기차역이 없다. 윤 당선자는 전철역과 기차역을 유치해 달라는 안성시민의 염원을 반드시 임기 내에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내기 위해 안락한 ‘보금자리’를 위한 ‘로비’ 대신 일부터 의원회관 10층 안쪽 방인 1011호를 ‘자청’했다. 원래 1101호를 원했으나 11층이 없어 1101을 거꾸로 한 1011을 의원실 호수로 배정해 달라고 요청한 것.

 사연인 즉 이렇다. 1925년 11월 1일은 일제강점기에 안성역이 개통한 날이다. 그런데 안성을 통과하던 기차는 폐선된 지 오래고, 안성역도 1989년에 문을 닫았다. 수도권 접근성이 최악일 것은 불문가지 안성 시민들이 다시 안성에 전철역과 기차역을 끌어와 명실상부한 ‘수도권 안성시대’를 개막해 줄 것을 기대하고 윤 당선인을 선출한 핵심 배경이다. 윤 당선인이 ‘편리함’과 ‘쾌적함’ 대신 ‘지역 현안 해결 의지’를 의원실 ‘호수’에 담고 ‘최악의 험지’를 보금자리로 택한 이유도 이런 맥락이다.

 이쯤 되면 윤 당선인의 의원실 배정에 얽힌 사연은 ‘사모곡(思母曲)’에 비견될 만하다. ‘사모곡’이 아닌 ‘사향곡(思鄕曲)’ 쯤은 되는 것이다. 4년 동안 있을 여러 가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일부러 ‘최악의 험지’를 ‘자청’한 윤 당선인의 결연한 의지가 어떤 결실을 맺을지 자못 흥미롭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안성시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호평 일색‥“올해는 이렇게 즐기세요!”
가을 축제의 대명사,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지난 9일 개막식을 진행한 가운데 한층 성숙해진 모습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올해 바우덕이 축제는 웅장한 메인게이트를 시작으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부스와 프로그램이 펼쳐져 눈길을 끈다. 축제장 입구에 마련된 종합안내소를 통해 각종 문의가 가능하고, 걸음을 옮기면 왼편에 보이는 대형 바우덕이 캐릭터와 테마파크를 마주한다. 올해 새롭게 구성한 이곳은 남사당 6(여섯)마당을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몰입형 전통 놀이 공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누구나 실제 외줄 위에서 어름(줄타기) 체험이 가능하고, 전통 인형극을 직접 해보는 덜미(꼭두각시극), 풍물 원데이 클래스, 바우덕이 페이스 페인팅, 덧뵈기 가면 만들기 등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수원에서 방문한 김모(40대·남)씨는 “매년 가을이면 바우덕이 축제를 빠지지 않고 찾아왔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공간구성이 잘 되어있어 이동하기에 편하고, 무엇보다 다채로운 체험이 있어 아이들이 좋아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미있는 추억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바우덕이 테마파크를 체험했다면, 조선시대 3대 시장 중 하나였던 안성 옛장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