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

신중년특화과정 전기기능사 필기 합격률 95% 달성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학장 이해춘)는 2025년 정기 기능사 3회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에 응시한 23명의 교육생 중 22명이 합격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격자는 모두 반도체전기과 야간 신중년특화과정 교육생들로, 지난 5월 입학한 만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이다. 이들은 5월부터 8월까지 ‘전기내선공사실무’ 과정에 참여하며 전기이론, 전기설비 배선, 배관 등 실무 중심의 다양한 교육을 받고 있다.

 반도체전기과 강인수 학과장은 “신중년특화과정의 교육생들은 재취업과 자격증 취득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어 높은 학습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이번 필기시험에 이어 실기시험에서도 대부분이 합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반도체융합캠퍼스는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반도체 종합기술 특성화 대학으로, 현재 하반기 신중년특화과정 교육생을 모집 중이다. 신청은 오는 8월 15일까지 가능하며, 만 40세 이상의 취업 의지가 있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최상후 유한학원 이사장 인터뷰
유일한 박사의 건학 이념을 계승하며, 진정성 있는 교육 혁신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실무중심 혁신대학, 반드시 이루겠습니다” 유한양행, 유한메디카, 유한화학의 대표로서 유한 그룹의 주요 계열사를 두루 거치며 유일한 박사가 추구했던 ‘정직한 기업’,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온 최상후 이사장, 그가 이제 ‘교육’이라는 새로운 무대에서 유한의 정신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취임사에서부터 “책임은 100% 이사장의 몫”이라고 단언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소통’과 ‘실천’을 통해 유한대학교를 ‘세계 최고 수준의 실무 중심 혁신대학’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변화의 파도가 거센 4차 산업혁명 시대, 유한학원의 새로운 전기를 열어갈 최상후 이사장을 만나 그의 교육 철학과 조직 운영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최상후 이사장에게 ‘유한’이라는 이름은 단순한 직장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유일한 박사님의 ‘기업에서 얻은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숭고한 경영 철학은 그의 삶의 나침반이자 이정표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 성장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는 진심을 통해 이제는 그 정신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