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은 모두가 함께 부담하고 함께 혜택을 누리는 소중한 제도이며, 국민 모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건강보험은 우리 사회의 든든한 안전망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요양기관과 의료인들이 허위 진료, 불필요한 검사·시술 청구 등으로 보험금을 빼돌리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행위는 결국 선량한 가입자들의 보험료 부담으로 돌아오고, 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다.
이러한 폐해를 막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도입된 제도가 바로 '국민건강보험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다. 특사경은 공단 직원 중 전문성을 갖춘 이들이 수사권을 받아, 현장에서 직접 불법 청구나 보험 사기를 조사하는 제도다. 의료와 보험 제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일반 수사기관이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의료 현장은 전문지식이 없이는 범죄를 밝혀내기가 쉽지 않다. 특사경은 건강보험 제도와 의료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허위 입원이나 약물 남용 같은 교묘한 범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도 시행 이후 특사경은 여러 불법 사례를 적발하며 보험 재정을 지켜왔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수사 인력이 충분하지 않고, 법적 권한에도 제한이 있다. 또한 일부 의료계에서는 수사권 남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려면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의료·법률·회계 분야 전문가 구성으로 복합적 범죄 대응력 강화 및 제도적 보완, 교육·홍보를 통한 사전 예방 체계 강화, 보건복지부, 검찰·경찰, 의사협회 등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으로 균형 있는 수사 및 제도 신뢰 확보, 수사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여 제도 남용 우려 해소로 국민 신뢰를 쌓는 노력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은 국민 모두의 삶과 직결 된다. 특사경 제도는 단순히 범법자를 잡아내는 장치를 넘어, 보험 재정을 보호하고 공정한 의료 질서를 세우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국민의 건강권을 지키는 파수꾼으로서, 특사경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앞으로 전문성 강화와 제도적 보완을 통해 특사경이 보험 사기 근절과 공정한 의료 질서 확립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