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향교 향음주례

 육백여년 전통의 양성향교(경기도 안성시 소재, 전교 유병만)918일 오후 3시 향음주례(鄕飮酒禮)를 시연했다.

 향음주례는 마을의 선비·유생들이 향교·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연륜이 높은 이를 주빈(主賓)으로 모시고 술을 마시며 잔치를 하는 향촌의례(鄕村儀禮)의 하나이다.

 이는 어진 이와 어른을 공경하고 덕유자(德有者)를 높이며 예법과 사양의 풍속을 일으키자는 것에 뜻을 두는데 이날 향음주례는 양성향교 유생들과 지역의 주민, 기관장, 양성중학교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학교 전교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성향교 명륜당에서 개최됐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향음주례를 실시했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고려 인조 14(1136)에 과거제도를 정비하면서 여러 주()의 공사(貢士)를 중앙으로 보낼 때 향음주례를 행하도록 규정한 일이 있다. 향음주례는 특히 고려 말부터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크게 보급되었다. 조선 초기에 정도전이 지은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에는 정표(旌表;어진 행실을 세상에 드러내어 널리 알림)가 절의(節義;절개와 의리)를 장려하는 것이라면 향음주는 예손(禮遜;예절과 겸손)을 가르치는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집현전에서 1474(성종 5)에 편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도 향음주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이후 향음주례는 주인과 손님 사이에 절도 있게 술잔을 헌수(獻酬)해 연장자를 존중하고 유덕자를 높이며 예법과 사양의 풍속을 일으키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주연이 끝나면 사정(司正)이 나아가 빈()과 주인 및 서민까지 한자리에 앉은 가운데 독약(讀約)하는 의식을 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향음주례는 단순한 잔치가 아니라 도덕적 교화의 의미가 담겨 있다. 향음주례의 연회가 끝나면 대표자 한 사람이 나와 효도·우애·화합·친목 등의 덕목을 낭독했고 참석자들은 모두 생활 속에서 그 덕목들을 함께 실천해가자고 서약을 했다고 한다.

 이번 향음주례 행사는 근대 기호지방 처음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양성향교 장의들과 유도회 회원 및 명륜교육원이 중심이 돼 치르며, 가야금병창 및 경기민요 공연도 곁들인다. 또 양성향교 명륜교육원 유학교수 김정기 박사가 향음주례의 유래 및 의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했다.

 유병만 전교는 오늘날의 음주(飮酒) 문화는 예절은 찾아 볼 수도 없을 정도로 무질서 하게 변해버렸다양성향교에서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되살리고 우리의 선조들이 육례(六禮)에 포함할 정도로 중요시했던 향음주례를 재현함으로서 우리와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음주예의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이번 행사를 개최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더보기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투쟁은 계속되고 있다’
“안성은 전력 공급지가 아니다” 안성시의회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초고압 송전선로 안성지역 관통 건설 계획과 관련, 발 빠르게 지난 3월 18일 제23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공식 철회 요구 결의에 이어 안정열 의장의 반대를 위한 삭발식 단행과 송전선로 건설 반대 리본패용 등 한전의 일방적 추진에 맞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시민과 함께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에 나서는 증 반대 투쟁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안성시의회는 시민의 건강과 지역 환경을 위협하는 용인 죽능리 LNG열병합발전소 건설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사업의 부당성과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지난 4일 오후 시청 별관 앞에서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안정열 의장을 비롯해 전·현직 의원, 보개면 석우 마을 김재홍 이장, 박성순 청년회장 등이 참석, 주민 동의 없는 졸속 환경영향평가 무효와 LNG발전소 즉각 중단을 외쳤다. 시의회는 성명서에서 “SK이노베이션과 중부발전이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 용인 SK 부지 내에 1.05GW 규모의 LNG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경 10㎞라는 가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