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 값 상승 여파 운전자들 고통

시설 채소 농가 생산비 늘어 한숨

 차량 운행에 필요한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이 150일여 연속 상승하고 있어 차량을 이용해 출·퇴근 하는 직장인과 자영업자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다.

 유가 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보통 휘발유의 당 수도권 평균 가격은 지난해 10111714.55원부터 이달 8(1947.30)까지 149일 연속 상승했다. 경기·인천 지역의 경우 당 보통 휘발유 값은 각각 1933.83, 1933.55원으로 지난해 1011(1695.16)보다 각각 238.67원 뛰었다.

 유류비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일부 주유소는 2천원이 넘는 곳이 부쩍 증가하면서 직장인은 물론 화물운송업체, 제조업 등의 채산성이 나빠지면서 회사마다 절약을 경영 방침으로 내세우는 등 기름 값 고공행진에 절약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유류대 인상으로 차량유지비가 곱으로 늘어나면서 빠듯한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어 차를 놔두고 지하철 등 대중버스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유류대의 인상으로 시설 채소를 경작하는 농가들도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

지난해 동절기보다 유류비가 3040% 늘어나면서 영농비가 껑충 뛰었지만 생산량은 줄고 판매가격도 제대로 받지 못해 3중고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 채소 수확량이 줄었는데도 가격 면에서 호재가 안 되는 것은 서민 경제가 요동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