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에 ‘화상 상봉’ 서비스

고향 그리운 가족과 상봉기회 제공

 안성시는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국내 이주여성들이 고향의 가족과 화상으로 서로의 안부를 물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가 IT를 통한 따뜻한 공정사회 구현을 위해 추진하는 다문화가정 화상 상봉 서비스는 국내 이주 여성이 화상 상봉을 원할 경우 정보화 마을 센터를 방문해 자율적으로 화상 상봉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안성시는 과채류 마을, 구메농사 마을 2곳에 이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는 행안부 지원으로 정보화 마을 2곳에 대형TV, 웹카메라, 스피커폰 등 전용 장비를 갖춘 공간을 마련하고 마을의 프로그램 관리자를 활용 가족과 수시로 화상 상봉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화상 상봉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몽골 4개국이며 필리핀어, 베트남어, 영어로 안내되고 있다.

 이 화상 상봉을 원할 경우 사전에 시간 약속된 상태에서 화상 상봉서비스에 접속하면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다.

 안성시에는 현재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몽골의 이주여성은 230명으로 시는 다문화센터 등 관련 단체와 연계해 이주여성들이 고향의 그리운 가족과 화상 상봉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지역

더보기
이관실 의원 ‘유니버설 디자인 활성화 토론회’ 성료
안성시의회 이관실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선거구)은 지난 23일 안성시장애인 복지관에서 안성시와 안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안성시 지속협)가 주최한 ‘유니버설디자인 :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활성화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범용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인종,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시설·설비를 이용하는데 있어 언어와 지식의 제약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BF(베리어프리, 무장애)가 장애인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기본단계라면,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안성시 지속협 공공시설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조사’는 △23년 1차 안성시 가로 보행로 조사 △24년 2차 행정복지센터 및 보건지소 조사 △25년 3차 공도일대 공원 조사로, 3년간의 대장정을 안성시민들과 함께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인식개선 및 활성화 토론회를 통해 마무리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난 23년 안성시 가로보행로 조사 보고회에 토론자로 참석하여 보행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바 있으며, 안성시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 및 해당부서와 현장점검 및 조치를 한 바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이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