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원외대표협의체 회의

시민의 병원 모토로 필수보건의료 협력, 공공의료 강화 도모

 평택진료권 지역책임의료기관인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병원장 임승관)은 지난 20일 원외대표협의체 회의를 통해 필수보건의료협력을 도모했다.

 이 날 진행된 원외대표협의체 회의는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사업 △중증응급 이송·전원 및 진료협력사업 △감염 및 환자안전관리사업 △재활의료 및 지속관리 협력사업 △산모·신생아·어린이협력사업 △기초조사 등에 대한 내용을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강대곤 안성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서안성의원장은 “오늘 처음 회의에 참석해 일차의료기관 입장에서 혹은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는데, 안성병원에서 굉장히 많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면서 “지역의 의료인, 주민들 등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런 사업에 대해 인식하고, 잘 조직화된 자원들을 함께 잘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임승관 병원장은 “지역, 공공기관, 일차의료기관, 지역책임의료기관, 권역책임의료기관 등과 앞으로 더 사업 관련 연계를 하면서 네트워킹해가는 토대가 좋은 것 같다.”며 “조금 더 역량을 키우고 의지를 내서 평택진료권인 만큼 평택시까지 이런 사업이나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은 건강한 병원, 시민의 병원을 모토로 필수·공공의료 강화 및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용인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 허가취소 소송 제기
안성시의회 황윤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와 경기환경운동연합, 시민 소송인단이 함께 제기하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LNG 발전사업 허가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에 원고인단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소송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내 LNG 발전소 6기 신설을 환경영향평가와 기후변화영향평가 없이 허가한 것에 대한 소송으로, 그린피스는 이는 ‘절차적 정의를 상실한 행위’라는 주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하는 이 소송에는 450명의 시민 소송인단이 참여했다. 소송은 16일 접수됐고, 황 의원은 이날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 그린피스, 경기환경운동연합, 시민들과 함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이들은 연무를 배출하는 LNG발전소 조형물과 함께 ‘RE100 하자면서 메탄 뿜는 LNG건설?’이라고 적힌 플랭카드를 들어 LNG 발전사업이 미칠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했다. 소송의 법률대리인인 김석연 변호사는 “기후위기 시대에 석탄을 LNG로 대체하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의무화한 탄소중립기본법을 위반하는 것”이며, “발전사업을 먼저 허가한 뒤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현재의 제도는 이미 결정된 사업을 정당화하기 위한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