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1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수행평가, 함께 다시 설계하다’를 주제로 수행평가 현장 의견 수렴 3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도교육청은 지난 7월과 8월에 각각 열린 1, 2차 토론회 결과와 현장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해 ‘경기도교육청 수행평가 재구조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3차 토론회는 수행평가 재구조화 방안을 교육구성원에게 공유하고, 교육 현장 적용에 따른 지원 방향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이뤄졌다.
도교육청이 마련한 수행평가 재구조화 방안은 △교과별 수행평가와 논술형 평가 비율 조정 △논술형 평가의 질 제고(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 활용 등)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 설계·운영 등 성장으로 이어지는 학생 맞춤형 피드백 강화가 주요 골자다.
이에 따라 수행평가 비율은 학기 단위 성적의 40% 이상에서 30% 이상으로 재구조화하고 ‘수행평가는 논술형만으로 실시할 수 없다’는 지침을 삭제해 학교와 교사의 평가 자율권을 높인다. 이와 함께 논술형 평가 비율은 중학교 학기 단위 40% 이상에서 30% 이상으로, 고등학교는 학기 단위 35% 이상에서 30%로 조정해 내실 있는 논술형 평가를 도모할 방침이다. 다만 체육 예술 교과군은 논술형 평가를 현행 그대로 유지해 고등 사고능력을 키우는 논술형 평가 강화 의지를 드러냈다.
임태희 교육감은 “수행평가가 ‘수행지옥’이 되지 않도록 비율과 시기를 조정하겠다”면서 “본래 취지대로 수업 중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