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교육지원청, 온라인개학 적극 지원

학교 현장과 소통하며 원격수업 성공 운영 모색

 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김송미)이 코로나19 여파로 개학이 지연되는 가운데 지난 21일 관내 학교장 지구장학 대표와 화상회의를 통해 초‧중‧고 전 학년 온라인개학 실시에 따른 학교 현장의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협력적 해결방안을 협의했다.

 화상회의에 참여한 삼죽초 박연훈 교장 외 7개교 학교장은 순차적 온라인개학 과정에서 학습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전하였다. 그리고 원격수업 준비가 서툰 교사들을 위해 스마트기기 활용이 능숙한 교사들이 1대1로 지원하는 T/F팀 운영사례를 소개하는 등 학습콘텐츠 개발과 수업 준비에 열심인 교사들의 사도 모습을 공유하기도 했다.

 또한 수업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긴급돌봄 참여 학생의 증가에 따른 원격학습 도우미와 공간 확보의 어려움, 등교 개학 이후 예상되는 기숙사 운영과 안전한 급식 운영을 위한 지구별 준비 상황을 나누었다.

 김송미 교육장은 “온라인개학 준비와 운영에 열정을 다하는 선생님들과 학교 공동체의 모습에 감명 받았다.”고 하면서 “원격수업 준비를 위한 지구별 온‧오프라인 공동 대응방안 모색과 협력을 위해 지구장학협의회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성공적 운영을 위해 안성교육지원청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