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대, 창업 지망생들을 위해

‘지식재산 온라인 창업특강’ 개최

 국립한경대학교(총장 임태희)가 지난 17일 온라인을 통해 재학생을 대상으로 ‘지식재산 창업특강’을 개최했다.

 이번 특강은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고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재학생들의 창업 역량 강화와 교내 청년 창업 열기 확산 및 지식재산 기반 창업으로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기획 된 것이다.

 특강은 이정파트너스 조해연 변리사가 진행하였으며 △지식재산권 개요(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등 기본개념) △특허의 이해 △지식 재산권 사례 △특허 창출을 위한 전략 등의 주제가 다뤄졌다.

 특강에 참여한 디자인학과 임유진 학생은 “디자인 분야는 특히 저작권, 특허권이 굉장히 중요한 데 이번 기회에 상당히 알게 되어 많은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사업 담당부서인 대학일자리센터 김한중 센터장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지만 학생들의 열정에 응원하며, 비대면시대에도 창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