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중학교 ‘청소년 도슨트 교육’ 참여

안성의 독립운동사 이해 및 해설 방법 체험
내 고장에 대한 자긍심 함양

 안성시 양성면은 독립운동 역사마을이다. 이에 양성면에 위치한 양성중학교(교장 안준기) 학생들은 역사 해설가 양성 프로그램 ‘청소년 도슨트 교육’에 참여했다.

 도슨트 프로그램 운영의 목적은 우리 청소년들이 자기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함양할 뿐 아니라 자신이 살고있는 안성 독립운동 역사마을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능동적 해설의 소양을 갖춰 이를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달 할 수 있는 도슨트 역할자로 길러내는 데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안성 3·1운동 기념관 1층 체험교육실 및 안성 독립운동 역사마을에서 진행되었는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번 교육에 참여하면서 지역을 이해할 수 있었다”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배웠던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의 독립운동사를 이해할 수 있었고, 특별히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역사적 의미가 담긴 마을에 살고 있다는 자부심이 느껴졌다.”라고 인터뷰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앞으로 안성 3·1운동 기념관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 내 역사적 장소를 관내 학생과 안성에 방문하는 관람객에게 이야기하는 역사 해설가로서 봉사 활동을 할 계획이다. 이러한 활동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어 안성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