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도읍 송원어린이공원

4억 예산 투입 ‘은행나무 테마 공원’으로 ‘재정비’

 안성시가 3억9000만원의 예산을 투입, 공도읍 소재 송원어린이공원 재정비 공사에 착공했다.

 만정리에 위치한 송원어린이공원은 조성된 지 13년이 되었는데 어린이 놀이시설 등이 노후해 어린이공원으로의 역할이 어려운 실정으로, 시는 이번 시설 재정비를 통해 인근 어린이들이 즐겨 찾을 수 있는 어린이공원으로 새 단장할 계획이다.

 재정비될 송원어린이공원은 안성시의 시목인 은행나무를 테마로 설계하여, 공원 내 바닥포장을 은행나무 잎으로 형상화하고, 실제로 은행나무를 추가 식재하는 등 가을철 은행나무의 황금빛 기운을 느낄 수 있도록 정비될 예정이다.

 또한, 조합놀이대와 바구니 그네, 파고라 등을 설치하여 인근지역 어린이 및 주민들이 찾고 싶은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며, 시는 새롭게 정비되는 송원어린이공원이 어린이공원 및 쉼터로써의 역할을 하고, 인근 청송근린공원의 바닥분수시설과 상호 시너지효과를 발휘하여 많은 시민들이 찾는 공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송원어린이공원 재정비 공사는 6월 중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며, 준공 후에는 어린이들과 주민들의 놀이공간 및 쉼터로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전하며 “사업기간 중 공원 이용에 불편이 예상되므로 이용객들의 협조와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