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경대 건축학전공 학생들

한국농촌건축대전, 한국건축문화대상 대거 수상

 국립한경대학교(총장 임태희) 건축학전공 학생들이 한국농촌건축대전 및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대거 수상했다.

 먼저 이재윤 등 3명이 함께 한 작품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가 한국농촌건축대전‘농촌지역 거점 커뮤니티센터 설계’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농촌건축대전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는 대회로 아름답고 살기 좋은 농촌 마을을 만들기 위해 2006년부터 추진되어 왔다. 건축학 전공 학생들은 2020년에도‘도론도론’ 등 8개 작품을 출품해 대거 수상한바 있다.

 또한 김종우 등 4명이 함께 한 작품 ‘공간(共幹)의 회복’과 ‘네이처 리퍼블릭-필(必) 환경시대, 자연과 공존하는 공공 공간계획’(이주영 작품),‘배다리 네트워크’(인진환 작품)이 한국건축문화대상 ‘계획 건축물 부문’에서 각각 최우수상과 입선을 수상했다.

 한국건축문화대상은‘건축은 문화’라는 명제로 건축의 대중화를 위해 30년째 개최되고 있는 대회로 역시 건축학 전공 학생들은 2018년과 2019년 다수부문에서 입상한 바 있다.

 한국농촌건축대전 대상을 수상한 이재윤 학생은 “귀농인과 농촌을 건축학적으로 연결하면서 귀농인의 정착을 도와주는 방법을 고민했는데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모전에 앞서 직접 경상남도 고성을 답사하며 농촌의 현실을 직접 보고 들으면서 작품의 현실감각을 높이는 등 열정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한경대학교 건축학전공은 매년 교수, 학생들이 함께 봉사단을 꾸려 안성관내 노후주택의 보수와 리모델링을 진행하는 등 지역사회 기여를 위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저작권자 © 민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지역

더보기
“시비 5여억 투입, 마을정비 한 곳에 공장입지 웬 말인가?”
보개면 가율리 분토마을 내에 개발행위가 이어지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마을 한가운데 입지한 공장 때문에 주민들이 줄곧 민원을 제기하는 상황인데, 인근 2~300m 이격한 곳에 또 개발행위허가가 나가거나 신청이 들어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황윤희 의원은 담당부서와 현장을 방문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분토마을 중심에는 현재 약 7천㎡ 규모의 부지에 야자매트를 생산하는 공장이 들어서 있다. 주민들은 “애초에 공장허가를 반대해 안성시에 항의했고, 이에 공장이 아닌 근린생활시설로 허가가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공장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마을경관 훼손은 물론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진출입로도 약 3미터에 불과한데 허가가 나갔다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표했다. 분토마을은 지난 2020년부터 3개년 동안 마을만들기사업에 선정돼 시비 약 4억9천여만원을 들여 마을정비는 물론, 보행로, 국화정원, 꽃길과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는데도 불구, 마을 중앙에 공장이 들어섰다. 더구나 심각한 문제는 이곳에서 300미터 이격한 곳에 공장을 짓기 위한 또다른 개발행위허가가나 현재 부지조성 중이라는 것. 주민들

안성의 모범지도자

더보기

포토뉴스&카툰

더보기